티스토리 뷰

https://www.acmicpc.net/problem/1043

 

1043번: 거짓말

지민이는 파티에 가서 이야기 하는 것을 좋아한다. 파티에 갈 때마다, 지민이는 지민이가 가장 좋아하는 이야기를 한다. 지민이는 그 이야기를 말할 때, 있는 그대로 진실로 말하거나 엄청나게

www.acmicpc.net

문제

지민이는 파티에 가서 이야기 하는 것을 좋아한다. 파티에 갈 때마다, 지민이는 지민이가 가장 좋아하는 이야기를 한다. 지민이는 그 이야기를 말할 때, 있는 그대로 진실로 말하거나 엄청나게 과장해서 말한다. 당연히 과장해서 이야기하는 것이 훨씬 더 재미있기 때문에, 되도록이면 과장해서 이야기하려고 한다. 하지만, 지민이는 거짓말쟁이로 알려지기는 싫어한다. 문제는 몇몇 사람들은 그 이야기의 진실을 안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런 사람들이 파티에 왔을 때는, 지민이는 진실을 이야기할 수 밖에 없다. 당연히, 어떤 사람이 어떤 파티에서는 진실을 듣고, 또다른 파티에서는 과장된 이야기를 들었을 때도 지민이는 거짓말쟁이로 알려지게 된다. 지민이는 이런 일을 모두 피해야 한다.

사람의 수 N이 주어진다. 그리고 그 이야기의 진실을 아는 사람이 주어진다. 그리고 각 파티에 오는 사람들의 번호가 주어진다. 지민이는 모든 파티에 참가해야 한다. 이때, 지민이가 거짓말쟁이로 알려지지 않으면서, 과장된 이야기를 할 수 있는 파티 개수의 최댓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사람의 수 N과 파티의 수 M이 주어진다.

둘째 줄에는 이야기의 진실을 아는 사람의 수와 번호가 주어진다. 진실을 아는 사람의 수가 먼저 주어지고 그 개수만큼 사람들의 번호가 주어진다. 사람들의 번호는 1부터 N까지의 수로 주어진다.

셋째 줄부터 M개의 줄에는 각 파티마다 오는 사람의 수와 번호가 같은 방식으로 주어진다.

N, M은 50 이하의 자연수이고, 진실을 아는 사람의 수는 0 이상 50 이하의 정수, 각 파티마다 오는 사람의 수는 1 이상 50 이하의 정수이다.

출력

첫째 줄에 문제의 정답을 출력한다.

 

<입력 설명>

더보기

우선 입력이 여러 번 들어온다. N과 M이 들어오고, 그 다음에 진실을 아는 사람의 수 K, K가 1 이상이라면 K만큼 번호들이 주어진다. 

이후 M개의 줄에 각 파티마다 오는 사람의 수와 번호가 주어지는데 수 P와 P만큼의 번호가 주어진다.

 

예제 입력 4를 예로 보면 이렇다.

4 5
1 1
1 1
1 2
1 3
1 4
2 4 1

<풀이>

더보기

N = 4, M = 5

K = 1, K가 1이므로 번호 1개가 주어졌다.

이후 M개의 줄에 각각 P = 1 , P가 1이므로 1개의 번호, P = 1, P가 1이므로 1개의 번호....

마지막은 P가 2이므로 2개의 번호가 주어지는 식이다.

 

처음에 독자적으로 풀어봤는데 WA을 받아서 알고리즘 분류를 보니까 Union-Find를 사용하는 문제였다.

공부한지가 좀 되어서 다시 찾아봤는데 개념은 쉬웠다. 나는 이 유튜브를 통해 공부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AMByrd53PHM 

 

Union-Find에 관한 코드는 유튜브에 있는 코드를 참고했으며, 나머지는 직접 작성했다.

이번부터 제출하고 바로 끝내지 말고 최적화나 좀 줄일 부분이 있나 고민하기로 해서, 처음 정답과 코드를 검토한 후의 정답을 모두 블로그에 남기기로 했다.

 

<정답>

더보기

 

#include <iostream>
#include <vector>
#include <algorithm>
using namespace std;
constexpr int MAX = 51;
int Parent[MAX];
vector <vector<int>> Partys;
int result[MAX];
int GetParent(int x)
{
	if (Parent[x] == x) return x;
	return GetParent(Parent[x]);
}
bool UnionParent(int a, int b)
{
	a = GetParent(a); // a 0?
	b = GetParent(b);
	if (a == b) return false;
	if (a < b) Parent[b] = a;
	else Parent[a] = b;
	return true;
}
bool FindParent(int a,int b)
{
	a = GetParent(a);
	b = GetParent(b);
	if (a == b) return true;
	return false;
}
bool compare(int a, int b)
{
	if (a < b) return true;
	return false;
}
int Party(int n, int m,int Knows, vector <int> & KnowsNum)
{
	int Result = 0;
	for (int i = 0; i < KnowsNum.size(); i++)
	{
		for (int j = 0; j < m; j++)
		{
			for (int k = 0; k < Partys[j].size(); k++)
			{
				if (KnowsNum[i] == Partys[j][k])
				{
					for (int l = 0; l < Partys[j].size(); l++)
					{
						if (find(KnowsNum.begin(), KnowsNum.end(), Partys[j][l]) != KnowsNum.end())
							continue;
						if (UnionParent(Parent[KnowsNum[i]], Partys[j][l]))
							KnowsNum.push_back(Partys[j][l]);
					}
					k = Partys[j].size();
					
				}
			}
		}
	}
	bool flag = true;

		for (int i = 0; i < m; i++)
		{
			for (int j = 0; j < Partys[i].size(); j++)
			{
				for (int k = 0; k < KnowsNum.size(); k++)
				{
					if (Parent[KnowsNum[k]] == Parent[Partys[i][j]])
					{
						flag = false;
						break;
					}

				}
			}

			if (flag) Result++;
			flag = true;
		}
	
	return Result;

}
int main()
{
	cin.tie(NULL);
	ios::sync_with_stdio(0);
	int n, m, Knows, PartyPeoples, PartyNum,KnowsT;
	vector <int> KnowsNum;
	cin >> n >> m;
	cin >> Knows;
	vector<int> a;
	for (int i = 0; i < m; i++)
		Partys.push_back(a);

	for (int i = 0; i < MAX; i++)
		Parent[i] = i; // Union-Find init

	for (int i = 0; i < Knows; i++)
	{
		cin >> KnowsT;
		KnowsNum.push_back(KnowsT);
	}
	sort(KnowsNum.begin(), KnowsNum.end());
	for (int i = 0; i < m; i++)
	{
		cin >> PartyPeoples;
		
		for (int j = 0; j < PartyPeoples; j++)
		{
			cin >> PartyNum;
			Partys[i].push_back(PartyNum);
		}
		sort(Partys[i].begin(), Partys[i].end());
	}

	sort(Partys.begin(), Partys.end());
	cout << Party(n, m,Knows,KnowsNum);
}

<검토 후 정답>

더보기

 

#include <iostream>
#include <vector>
#include <algorithm>
using namespace std;
constexpr int MAX = 51;
int Parent[MAX];
vector <vector<int>> Partys;
int result[MAX];
int GetParent(int x)
{
	if (Parent[x] == x) return x;
	return GetParent(Parent[x]);
}
bool UnionParent(int a, int b)
{
	a = GetParent(a);
	b = GetParent(b);
	if (a == b) return false;
	if (a < b) Parent[b] = a;
	else Parent[a] = b;
	return true;
}
bool FindParent(int a,int b)
{
	a = GetParent(a);
	b = GetParent(b);
	if (a == b) return true;
	return false;
}
int Party(int n, int m,int Knows, vector <int> & KnowsNum)
{
	int Result = 0;
	for (int i = 0; i < KnowsNum.size(); i++)
	{
		for (int j = 0; j < m; j++)
		{
			for (int k = 0; k < Partys[j].size(); k++)
			{
				if (KnowsNum[i] == Partys[j][k])
				{
					for (int l = 0; l < Partys[j].size(); l++)
					{
						if (find(KnowsNum.begin(), KnowsNum.end(), Partys[j][l]) == KnowsNum.end())
						{
							if (UnionParent(Parent[KnowsNum[i]], Partys[j][l]))
								KnowsNum.push_back(Partys[j][l]);
						}
					}
					k = Partys[j].size();
					
				}
			}
		}
	}
	bool flag = true;
		for (int i = 0; i < m; i++)
		{
			for (int j = 0; j < Partys[i].size(); j++)
			{
				for (int k = 0; k < KnowsNum.size(); k++)
				{
					if (Parent[KnowsNum[k]] == Parent[Partys[i][j]])
					{
						flag = false;
					}

				}
			}
			if (flag)
			Result++;
			flag = false;
		}
	
	return Result;

}
int main()
{
	cin.tie(NULL);
	ios::sync_with_stdio(0);
	int n, m, Knows, PartyPeoples, PartyNum,KnowsT;
	vector <int> KnowsNum;
	cin >> n >> m;
	cin >> Knows;
	vector<int> a;
	for (int i = 0; i < m; i++)
		Partys.push_back(a);

	for (int i = 0; i < MAX; i++)
		Parent[i] = i; // Union-Find init

	for (int i = 0; i < Knows; i++)
	{
		cin >> KnowsT;
		KnowsNum.push_back(KnowsT);
	}
	for (int i = 0; i < m; i++)
	{
		cin >> PartyPeoples;
		
		for (int j = 0; j < PartyPeoples; j++)
		{
			cin >> PartyNum;
			Partys[i].push_back(PartyNum);
		}
	}

	cout << Party(n, m,Knows,KnowsNum);
}

괜찮다고 생각한 부분은 정렬을 없앤 부분이다. 나는 아는 사람의 번호가 정렬되어야 풀 수 있다고 생각했다.

파티에 참가한 사람이 1, 2, 3, 4 2, 4 1 이 순서대로라면 정렬 없이는 1-2-4가 Union으로 묶이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헌데 자세히 보니 상관이 없었다. 어차피 내가 작성한 코드는 진실을 아는 사람이 파티에 있다면 전수조사해서 그들을 추가하는 방식이었으므로, 1번 사람을 가지고 시작해도 어차피 묶이고, 4번 사람을 가지고 시작해도 묶이는건 똑같았다.

이외에는 flag를 사용하지 않을 방법이 있나 찾아봤는데 이 글에서 다른 방법을 얻을 수 있었다.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9695902/how-to-break-out-of-nested-loops

 

How to break out of nested loops?

If I use a break statement, it will only break inner loop and I need to use some flag to break the outer loop. But if there are many nested loops, the code will not look good. Is there any other w...

stackoverflow.com

나처럼 flag를 사용하거나, goto를 사용하거나(이건 사용하지 않으려고 한다), nested loop 안의 반복자 값을 조정하는 방법이 있었다.

찾고 나서 알게된건데 나도 이미 flag랑 반복자 값을 조정하는 방법을 사용중이었다. 그래도 제대로 알고 익혔으니까 다음에는 명확히 사용해보려고 한다.

 

'PS > 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C++) [백준 1167번] 트리의 지름  (0) 2022.01.24
(C++) [백준 1149번] RGB거리  (0) 2022.01.17
(C++) [백준 2407번] 조합  (0) 2021.12.30
(C++) [백준 1874번] 스택 수열  (0) 2021.01.29
(C++) [백준 4949번] 균형잡힌 세상  (0) 2021.01.22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