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https://www.acmicpc.net/problem/11559
11559번: Puyo Puyo
총 12개의 줄에 필드의 정보가 주어지며, 각 줄에는 6개의 문자가 있다. 이때 .은 빈공간이고 .이 아닌것은 각각의 색깔의 뿌요를 나타낸다. R은 빨강, G는 초록, B는 파랑, P는 보라, Y는 노랑이다.
www.acmicpc.net
시뮬레이션 + BFS를 이용하는 문제이다.
12*6 크기의 필드에 R,G,B,P,Y 총 5개의 뿌요와 빈 공간을 나타내는 '.' 문자까지 총 6개의 문자가 주어질 때 가능한 연쇄의 횟수를 출력하면 된다.
특정 뿌요를 기준으로 같은 색의 뿌요가 4개이상 상하좌우로 연결되어있는 경우 터지는데, 이를 연쇄라고 한다.
터질 수 있는 뿌요가 여러 개라면 한 번에 터져야 하고, 한 번에 터지는 경우는 1연쇄로 취급한다.
또한 뿌요는 중력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빈 공간이나 가장 아래에 놓일 때 까지 쭉 위에서 아래로 떨어진다.
뿌요뿌요를 해본 적은 없지만 하는 걸 여러 번 본 적이 있어서 수월하게 풀었다. 그리고 이번 문제를 통해 뿌요뿌요의 연쇄 조건을 알게 되었다.
나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생각해서 풀었다.
1) 뿌요가 있는 배열의 [0][0]부터 시작하면서 '.'가 아닌 경우 BFS를 수행하고, BFS에서 한 뿌요에 대해 탐색한 횟수가 4 이상인 경우 해당 뿌요를 터트리고, 연쇄가 일어남을 표시하기 위해 flag를 true로 만든다.
2) 1번을 [r-1][c-1]까지 반복하고, flag가 true인 경우 결과값에 1을 더한다.
3) 뿌요를 가장 아래쪽으로 내린다. -> 이는 백준 12100번 2048 (Easy) 문제나, 백준 15683번 감시 문제에서처럼
배열을 미는 것과 같다고 생각해서 쉽게 풀었다. 잠시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은 방법이다.
1: 원본 배열과 옮길 배열을 준비하고, idx라는 옮길 배열의 인덱스를 담을 배열 1개를 따로 준비한다.
2: 원본 배열의 값이 '.'가 아닌 경우(뿌요가 있는 경우) 옮길 배열에 담고 인덱스를 1 추가한다(Array2[idx++] = Array1[i])
3: 1,2번을 전체 배열에 대해서 반복한다.
4) *중요! 2번의 flag가 true인 경우 결과값에 1을 추가하고, BFS에 사용했던 checked 배열을 초기화한다. flag가 false라면 종료한다.
내가 생각한 시간 복잡도는 다음과 같다.
먼저 배열 전체에 대해서 BFS를 수행하므로 12*6, 가장 아래쪽으로 내리는 과정에서 12*6만큼 필요하고, 최대 일어날 수 있는 연쇄의 횟수는 72/4 = 18연쇄이므로 총 18번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총 시간 복잡도는 다음과 같다. (틀릴 수 있음!)
여기서 핵심 함수는 배열 전체에 대해서 BFS를 수행하는 find(), 뿌요를 아래쪽으로 내리는 move()이다.
1) find()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bool find()
{
bool flag = false;
for (int i = 0; i < R; i++)
{
for (int j = 0; j < C; j++)
{
if (!visited[i][j] && board[i][j] != '.')
{
q.push({ i,j });
BFS(board[i][j]);
}
if (v.size() >= 4)
{
for (int k = 0; k < v.size(); k++)
{
board[v[k].X][v[k].Y] = '.';
flag = true;
}
}
v.clear();
}
}
return flag;
}
|
cs |
아직 방문하지 않은 정점이고, 뿌요인 경우에 해당 정점에 대해 BFS를 수행한다.
BFS에서 방문한 정점은 v에 추가하는데, 이 v가 4 이상인 경우에는 연쇄가 가능하므로 해당 뿌요들을 터트리고 flag를 true로 만든다. 이후 해당 정점은 '.'로 바꿔준다.
2) move()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void move()
{
int idx = 0;
char board2[R];
for (int i = 0; i < C; i++)
{
fill(board2, board2 + R, '.');
idx = 0;
for (int j = 0; j < R; j++)
{
if (board[j][i] != '.')
board2[idx++] = board[j][i];
}
for (int j = R - 1; j >= 0; j--)
{
if (idx <= 0) board[j][i] = '.';
else
board[j][i] = board2[--idx];
}
}
}
|
cs |
인덱스 idx와 board2를 이용하는데, 2번째 for (int j = R - 1; j >= 0; j--) 반복문이 조금 헷갈릴 수 있다.
처음에 idx를 이용해 추가할 때 0부터 추가했는데 보드의 가장 아래쪽부터 값을 복사해야 하기 때문에 가장 아래에서부터 시작하면 된다.
아래는 전체 코드이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
#include <iostream>
#include <vector>
#include <queue>
#include <algorithm>
using namespace std;
#define R 12
#define C 6
#define X first
#define Y second
char board[R][C];
bool visited[R][C];
int dx[4] = { 1,0,-1,0 };
int dy[4] = { 0,1,0,-1 };
int res;
queue <pair<int, int>> q;
vector <pair<int, int>> v;
void BFS(char now)
{
while (!q.empty())
{
auto cur = q.front(); q.pop();
for (int dir = 0; dir < 4; dir++)
{
int nx = cur.X + dx[dir];
int ny = cur.Y + dy[dir];
if (nx < 0 || ny < 0 || nx >= R || ny >= C || visited[nx][ny]) continue;
if (board[nx][ny] != now) continue;
q.push({ nx,ny });
v.push_back({ nx,ny });
visited[nx][ny] = true;
}
}
}
bool find()
{
bool flag = false;
for (int i = 0; i < R; i++)
{
for (int j = 0; j < C; j++)
{
if (!visited[i][j] && board[i][j] != '.')
{
q.push({ i,j });
BFS(board[i][j]);
}
if (v.size() >= 4)
{
for (int k = 0; k < v.size(); k++)
{
board[v[k].X][v[k].Y] = '.';
flag = true;
}
}
v.clear();
}
}
return flag;
}
void move()
{
int idx = 0;
char board2[R];
for (int i = 0; i < C; i++)
{
fill(board2, board2 + R, '.');
idx = 0;
for (int j = 0; j < R; j++)
{
if (board[j][i] != '.')
board2[idx++] = board[j][i];
}
for (int j = R - 1; j >= 0; j--)
{
if (idx <= 0) board[j][i] = '.';
else
board[j][i] = board2[--idx];
}
}
}
void input()
{
string str = "";
for (int i = 0; i < R; i++)
{
cin >> str;
for (int j = 0; j < C; j++)
board[i][j] = str[j];
}
}
int main()
{
cin.tie(0); ios::sync_with_stdio(0);
bool flag;
input();
while (true)
{
flag = find();
move();
if (flag == false) break;
res++;
for (int i = 0; i < R; i++)
for (int j = 0; j < C; j++)
visited[i][j] = false;
}
cout << res;
}
|
cs |
'PS > 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C++,Java) [백준 16935번] 배열 돌리기 3 (1) | 2024.02.10 |
---|---|
(C++) [백준 3190번] 뱀 (0) | 2022.12.29 |
(C++) [백준 12100번] 2048(Easy) (0) | 2022.12.09 |
(C++) [백준 18808번] 스티커 붙이기 (1) | 2022.12.02 |
(C++) [백준 6603번] 로또 (0) | 2022.08.26 |
- Total
- Today
- Yesterday
- 6603
- 확장 게임
- DX부문
- 3190번
- 3197
- 9328
- 1475
- 벽 부수고 이동하기 2
- 17071
- 2493
- 상범 빌딩
- 5427
- 구름톤챌린지
- SWEA
- PS
- 16933
- 숨바꼭질 4
- 1251
- 숨바꼭질 5
- 벽 부수고 이동하기 3
- 두 수의 합
- 5397
- 16920
- 백준
- 2583
- 6593
- 3273
- 2146
- BOJ
- 파핑파핑 지뢰찾기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